"통풍 원인 및 초기증상 쉬운 치료방법 소개" 절주는 필수
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방

"통풍 원인 및 초기증상 쉬운 치료방법 소개" 절주는 필수

728x90
반응형

중년층에서 자주 발병되었던

통풍은 최근들어서 20-30대 젊은층에서도

발병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 입니다.

 

통풍이란 체내에 과도하게 쌓인 요산이

관절에 붙어 염증을 유발시키는 질병으로

귀 손가락 발가락 발목 팔꿈치 부위에 발병하며

요로결석을 만들어 내기도 합니다.

관절 부근에 염증이 나타나면 급성 통풍

관절염이 나타나고 재발성 발작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관절염이 지속될 시 관절 뿐만아닌 다른 조직과

신장에 요산 결정이 쌓여 심각한 장애를

초래 할 수 있어 유의해야 합니다.

 

통풍의 원인이란?

통풍의 원인으로는 평소에 인스턴트 식품

고열량의 기름지고 매운 자극적인 음식,

잦은 과음의 식습관과 관련이 있는데요.

탄산음료와 인스턴트 식품에 많이 들어가 있는

과당과 과자에 들어있는 콘시럽 같은

종류는 일반적인 설탕시럽보다 더 달달하고

값또한 저렴해서 시중에 많이 쓰이는데요

이 성분들이 체내에 쌓일 경우 요산을

같이 끌어들이게 됩니다. 최근에 들어

20-30대의 젊은 층의 통풍 발생률이

높아진 이유로 식습관을 볼 수 있습니다. 

 

통풍의 증상

통풍의 증상으로는 단백질을 과하게 섭취하거나

심한 운동을 했을때, 과음을 했을때 밤 중 갑작스러운

통증에 잠이 깨기도 하며 관절이 벌겋게 부어 올라 

손을 댈 수 없을 정도로 심한 통증을 호소하기도 하며

살짝 스치기만 하여도 심한 통증이 발생하며

제대로 걷지 못하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주로 발가락의 엄지 부근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발열과 오한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처음 발병시 며칠 이내로 증상이 좋아지며

한동안 오랜기간 발병하지 않다가 갑자기 

찾아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초기에 발병 되었을때 치료하지 않고

지나가 버리면 혈중의 요산 수치가

조절되지 않아 만성 결졀성 통풍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발병 초기에 치료를 받는것이

중요합니다.

통풍 자가진단

통풍 자가진단표
1. 관절 부위의 발작
2. 하루 이내의 최고조에 이르는 염증
3. 한번 이상의 급성 관절염
4. 단일 관절염 
5. 엄지발가락 한쪽 관절의 통증이나 부종
6. 한쪽 발목등 발관절의 침범
7. 혈액검사상 고요한 혈증 
8. 감염성 관절염의 배제
9. 통풍성 결절이 침범 관절에 보임
10. 방사선의 사진상 비대칭적 부종 통풍에 의한 방사선 소견이 있을때

통풍 치료방법은?

통풍의 치료 목적은 갑작스럽게 발작을 일으킴을

종결시키고 재발을 방지하며 신장이나 관절에 요산

침착이 발생하여 합병증이 생기는 것을 예방 하는 것이며

통풍은 재발방지와 통증 조절을 위해 꾸준한

약물 복용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급성 통풍 관절염 치료제 혈중 요산농도 떨어트리기 위한 약

콜키신,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스테로이제 경구 혹은 주사 투여 

체내 요산 생성수준을 낮춰주는 알로퓨리놀

페북소스탯과 요산배출을 증가시키는 프로배내시드

 

통풍 식이요법이란?

 

카페인이 들어간 커피나 차 종류는 하루에

2잔 이하로 섭취하며 내장류나 콩팥 고등어와같은

등푸른 생선 멸치 간 등은 최대한 금해주며

요산 결정이 체외로 배출 될 수 있도록

하루에 2리터의 물을 섭취해주고 몸안에 

요산이 축척되는 것을 막기위해 지방 및 과당이

적은 식사를 하고 비만은 혈중 요산 농도와

깊은 관계가 있음으로 체중 조절을 필수로 해야합니다.

알콜은 종류를 가리지 않고 요산 농도를

높이는데 그 중에 가장 요산농도를

높여주는 주류는 맥주로 맥주 안의

퓨린 성분이 요산으로 변하기 때문에

굉장히 주의가 필요 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