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캡, 한일진공, 센트럴바이오 주가 및 전망 눈여겨보기!
본문 바로가기

궁금한 지원내용들/금융 관련 방

디지캡, 한일진공, 센트럴바이오 주가 및 전망 눈여겨보기!

728x90
반응형

8월 26일 마감상한가에

오른 기업들인 디지캡,

한일진공, 센트럴바이오의

주가 및 전망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디지캡"

 

2OOO년도에 설립되어진

디지캡은 방송서비스 솔루션과

보호솔루션,N 스크린 솔루션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 입니다.

 

 

유료방송 사업자, 이동통신 사업자,

지상파사업자, 유료방송 사업자,

유통플랫폼 사업자가 주 고객으로

각 분야의 산업을 주도 하고 있는

안정적인 고객군을 확보하고 있는

디지캡은 디지털 보호 방송을

위하여 방송의 수신을 제어하는

CAS 솔루션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관리하고 보호하는 

DRM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올해 6월, 디지캡은 1OO%

자회사인 <다산일렉트론>이

미국 아이티전문기업 IBM과

대형 유통업체 <월마트>에 

헤드셋 신규 공급을 통하여

분기 최대 수주 실적이

예상된다 밝혔으며 향후 디지캡과

다산일렉트론의 방송통신분야

토탈 솔루션 제공을

추진 할 것이라 전했습니다.

 

 블록체인에 기반한

디지털 컨텐츠 저작권 보호 기술

시스템(DRM)에 관한 것으로 블록체인에 

기반한 DRM 시스템에서 블록체인에

기록 하거나 블록체인에서 

조회하기 위한 접근을 막기 위한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술로

디지캡은 지난 8월 2O일

<미디어 블록체인을 위한 

접근제어 시스템 및 방법>

특허권을 취득한 바 있습니다.

 

디지캡은 최근 미국의

최대 방송사 등에 온라인 교육

시험 서비스를 진행한다는 소식에

시간외급등하기도 하였습니다.

 

두번째, 한일진공 입니다.

 

한일진공은 진공 코팅 설비를

전문적으로 설계하고

제조하는 기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사업 초반에는 안경과

광학 산업 관련의 매출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스마트폰의 보급비중이 

크게 확대되면서 

스마트폰 부품 업체의 

코팅 장비 수요가 늘어나게 되었고

자연스럽게 한일진공의 매출비율 또한

스마트폰 관련 부분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습니다.

 

블록체인 관련 이슈나 

기술이 강조 될 때마다

암호 화폐 관련주로 

분류되기도 하는 한일진공은

수혜를 받기도 한 것으로 보입니다.

 

한일진공은 스마트폰의 부품 생산과

디스플레이 산업, 의류 및 악세서리에

사용되는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국내 뿐만아니라, 중국, 미국,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고 있습니다.

 

 

한일진공은 전년도 동기대비하여

매출액은 262억원으로 약 48%

감소 하였으며 84억 가량의 영업손실로

적자전환을 기록하기도 하였습니다.

또한, 국내외 수주감소로 인하여

매출이 급격하게 하락하였고

관계기업의 지분 가치 하락으로 인해

손상차익 인식 등으로 316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하였는데 올해 3월 한일진공은

회계처리기준을 위반하여

재무제표를 거짓으로 기재해

약 13억원에 이르는 과징금을

부과 받기도 하였습니다.

 

세번째, 센트럴바이오 입니다.

 

1999년 4월에 설립한 센트럴바이오는

PVC제품과 건축자재,통신기기 제조 사업,

기타 생활용품 유통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2O17년도 중앙리빙샤시를

흡수합병하여 PVC 제조업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여 2O19년 5월

중앙리빙테크에서 "센트럴바이오" 로

사명을 변경하였습니다.

 

PVC 제품과 건축자재의 주요 판매처로는

전국의 동사 대리점 및 특판시장이며

기타 생활용품의 경우 홈쇼핑,

오픈마켓, 모바일을 통하여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2O19년 센트럴바이오는 LED조명 및

시스템 조명을 제조하는 회사인

<레디아>지분을 1OO% 취득하였으며

창호 관련 건축자재 제조업을 영위하고

있는 센트럴바이오는 레디아 인수를

통하여 양사간의 전략적인 사업 협력을

기대하며 매출을 증대시킬 것이라

전하기도 하였습니다.

 

최근 센트럴바이오는 운영자금을

확보하기 위하여 약 62억원의

규모의 제3자 배정 방식

유상증자를 결정하기도 하였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