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물 (식품) 이나 화장품과 같이
유통기한이 있는 제품들이 있어 오래 되었다
싶으면 사용시 혹은 복용시 꼭 유통기한을 확인하게 되는데요.
우리가 자주 접하는 '약' 에도 유통기한이 있다는거
알고 계셨나요?
우리가 아무렇지 않게 먹는 '약'에도
유통기한은 있으며 약의 유통기한이
한참 지났는데도 복용을 했을시에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어 꼭 ! 확인해 보아야 하는
부분이랍니다.

처방을 받는 조제약 같은 경우 유통기한이
따로 표시되어 있지 않아 걱정했었던 적도
있었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약'의 유통기한 은 얼마나 될까? 라는
다들 궁금해 하실 만한
내용으로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1. 처방받은 (조제) 약
처방받은 약의 유통기한은 약 2개월 정도 입니다.
우리는 약국에서 처방받은 약은 유통기한이
봉투에 따로 적혀져 있지 않아 유통기한이 따로 없을
거라고 무심코 생각 했을 수도 있지만
조제약에도 유통기한은 있다고 합니다.
기간이 지난 약은 복용을 권하지 않으며
알약같은 경우 약의 코팅이 녹아져 외적으로 변형이
있는 경우 아예 복용을 금지해야 합니다.

2. 시중에 판매되는 알약
보통 약국에서 판매되는 알약의 유통기한은
1년에서 2년정도 라고 합니다.
시중에 약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알약의
유통기한은 박스 겉표면에 나와있어서 유통기한을
확인한 뒤 복용하는것을 권장합니다.

3. 안약, 안 연고
안약 같은 경우 액체의 형태를 띄고 있기 때문에,
유통기한이 짧다고 합니다.
개봉전은 6개월, 액체형태의 안약을 개봉했다면
1개월 이내로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서늘한 곳에서 보관해야 하며
따듯한 상온에 보관시 쉽게 변질 되어
유통기한이 더 짧아지니
조심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액체로 된 내용물이 흐르지 않거나
이물질이 보이는 경우 즉시 사용을 중단 해야
합니다.
4. 크림 형태의 연고류
크림 형태로 되어있는 연고류의 유통기한은
6개월 정도 입니다.
연고 제품도 피부에 닿기 때문에
유통기한을 잘 보아야 하며
개봉전 유통기한은 2년정도 이며
개봉한 후 에는 6개월 정도로 줄어드니
연고에 개봉한 날짜를 적어 참고하는 게
좋다고 합니다.
크림 형태의 연고제품이 딱딱하게 굳어있거나
액체가 물과 크림 처럼 분리되서 나오거나
도포 하면서 이물질이 만져지는 경우
도포한 부분을 바로 씻어내고
사용을 금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유통기한이 지난 약을 복용해도 괜찮다고는 하지만
유통기한이 지난 약은 효능이 없어졌기 때문에
아무런 효과 없이 약에 대한 내성만 생길 수 있다고 하니
유통기한이 지난 '약' 종류는 약국에 가서 안전하게
처리하는 것을 권장 합니다.
가지고 계신 '약'들 오늘한번
정리하는 시간을 가져보는 건 어떨까요?
'생활정보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세먼지 정화 해주는 공기정화식물 추천 베스트 1~5위 (0) | 2020.01.08 |
---|---|
약 먹을때 같이 먹으면 안되는 음식 '이 것'과는 꼭 먹지마라! (0) | 2020.01.07 |
혼인신고시 준비물 및 서류 작성 방법 (작성예시첨부) (0) | 2020.01.02 |
2020년도 바뀌는 제도들 한눈에 알아보기 (0) | 2020.01.01 |
2020년 경자년 쥐띠 나이대별 및 총평 운세 (0) | 2020.01.01 |